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전체 글69

책리뷰) '불편한 편의점' - 가볍게 읽힘 얼마 전, 교보문고에서 책을 주문했는데 sam 무제한 이용권을 주길래 교보ebook을 이용해 봄. 베스트셀러 중 하나를 선택한 게 '불편한 편의점'이라는 책. ‘ 편의점에 들리는 사람들의 뻔한 이야기이지 않을까?’ 했는데.. 노숙자 독고씨의 등장과 그로 인해 조금씩 변하는 사람들의 삶 이야기로 ‘뭉근하다’ 라는 단어가 떠오르게 하는 책. 가볍게 읽어보기 좋은 책 같음:) 결말은 모두가 행복해지기 바라는 마음? 2022. 1. 29.
kbs한국어능력시험 54회 홀수 어법문제 - 41번 로마자 표기법 정답 ② 인왕리 Inwang-li (X) → Inwang-ri(O) ✔️ [추가 설명] 도, 시, 군, 구, 읍, 면, 리, 동, 가 do, si, gun, gu, eup, myeon, ri, dong, and ga ex) 충청북도 Chungcheongbuk-do 제주도 Jeju-do 의정부시 Uijeongbu-si 양주군 Yangju-gun 도봉구 Dobong-gu 신창읍 Sinchang-eup 삼죽면 Samjuk-myeon 인왕리 Inwang-ri 당산동 Dangsan-dong 봉천1동 Bongcheon 1(il)-dong 종로 2가 Jongno 2(i)-ga 퇴계로 3가 Toegyero 3(sam)-ga 2022. 1. 27.
kbs한국어능력시험 54회 홀수 어법문제 - 40번 외래어 표기법 정답 ① 무함마드 ✔️ 무함마드, , 마호메트 ○ 모하멧, 무하마드, 마호멧, 모하메트 X 참고: https://www.korean.go.kr/front/search/searchAllList.do 2022. 1. 27.
kbs한국어능력시험 54회 홀수 어법문제 - 39번 표준어 규정 관련 문제 정답 ⑤임진란 ✔️ [해설] 'ㄴ'이 'ㄹ'의 앞에 있는 경우 'ㄴ'이 'ㄹ'의 뒤에 있는 경우 예외 ‘ㄹ’을 [ㄴ]으로 발음 [붙임] 첫소리 ‘ㄴ’이 ‘ㅀ’, ‘ㄾ’ 뒤에 연결되는 경우 난로[날ː로] 신라[실라] 천리[철리] 광한루[광ː할루] 대관령[대ː괄령] 칼날[칼랄] 물난리[물랄리] 줄넘기[줄럼끼] 할는지[할른지] 의견란[의ː견난] 임진란[임ː진난] 생산량[생산냥] 결단력[결딴녁] 공권력[공꿘녁] 동원령[동ː원녕] 상견례[상견녜] 횡단로[횡단노] 이원론[이ː원논] 입원료[이붠뇨] 구근류[구근뉴 닳는[달른] 뚫는[뚤른] 핥네[할레] 참고 : https://kornorms.korean.go.kr//regltn/regltnView.do?regltn_code=0002&regltn_.. 2022. 1. 27.
kbs한국어능력시험 54회 홀수 어법문제 - 38번 표준어와 방언 구분 문제 정답 ① 짜장은 "과연 정말로." 의미를 지닌 표준어 ✔️ 2022. 1. 27.
kbs한국어능력시험 54회 홀수 어법문제 - 37번 정답 ⑤ 나침-판 나침-반 ✔️ 나침-판 나침-반 둘 다 표준어 발음 변화에 따른 표준어 규정 제 3항 거센소리를 가진 형태를 표준어로 삼는다.(ㄱ을 표준어로 삼고, ㄴ을 버림.) ㄱ ㄴ 비고 끄나풀 끄나불 나팔-꽃 나발-꽃 녘 녁 동~, 들~, 새벽~, 동틀~. 부엌 부억 살-쾡이 삵-괭이 칸 간 1. ~막이, 빈~, 방 한~. 2. '초가삼간', '윗간'의 경우는 '간' 털어-먹다 떨어-먹다 재물을 다 없애다. 참고 : https://www.korean.go.kr/front/page/pageView.do?page_id=P000085 2022. 1. 26.
kbs한국어능력시험 54회 홀수 어법 문제 - 36번 정답 ④ ✔️ 줄임표는 가운데에 여섯 점(……)을 찍는 것이 원칙이나, 아래에 여섯 점(......)을 찍거나 세 점(…, ...)만 찍는 것도 가능. 다만, 여기서 주의할 것은 점을 아래에 찍더라도 마침표는 생략하지 않는다는 것. [해설] 줄임표(······) = ‘말없음표’, ‘말줄임표’, ‘무언부’, ‘무언표’, ‘생략부’, ‘생략표’, ‘점줄’ : 할 말을 줄였을 때, 말이 없음을 나타낼 때, 문장이나 글의 일부를 생략할 때, 머뭇거림을 보일 때 쓰는 ‘……’ 형태의 문장부호. 앞말에 붙여 쓰는 것이 원칙이다. 다만, 문장이나 글의 일부를 생략함을 보여줄 때는 줄임표의 앞뒤를 띄어 쓴다. 1. 할 말을 줄였음을 나타낼 때. 줄임표 뒤에 마침표, 물음표, 느낌표 중 하나를 사용하여 문장이 끝났음을 .. 2022. 1. 26.
kbs한국어능력시험 54회 홀수 어법 문제 - 35번 -던지 -든지 정답 ② 잘하드라고 ✔️ '-더라' 의 전라북도 방언 [추가 설명] 표준 국어 대사전에 따르면 '-더라'는 '해라할 자리에 쓰여, 화자가 과거에 직접 경험하여 새로이 알게 된 사실을 그대로 옮겨 와 전달한다는 뜻을 나타내는 종결 어미'로 풀이되는 반면, '-더라고'는 어미 ‘-더라’에 인용을 나타내는 격 조사 ‘고’가 결합한 말로 풀이된다는 점에서, 인용이라는 의미가 분명히 드러나는 경우라면 '-더라고'를 쓰는 것이 적절하겠습니다. [해설] '-던지' : 막연한 의문이 있는 채로 그것을 뒤 절의 사실이나 판단과 관련시키는 데 쓰는 연결 어미 예시) 얼마나 춥던지 손이 곱아 펴지지 않았다. 아이가 얼마나 밥을 많이 먹던지 배탈 날까 걱정이 되었다. '-든지' : 나열된 동작이나 상태, 대상들.. 2022. 1. 26.
kbs한국어능력시험 54회 홀수 어휘 문제 - 30번 순화어 정답 ⑤ 팝업 창 ✔️ 팝업 창 - 알림 창 2022. 1. 26.
kbs한국어능력시험 54회 홀수 어휘 문제 - 26번 속담 정답 ③ 소 닭 보듯 ✔️ 서로 아무런 관심도 없이 본 둥 만 둥함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 닭 소 보듯 소 닭 보듯.) ① 처삼촌 뫼에 벌초하듯 : 일에 정성을 들이지 아니하고 마지못하여 건성으로 함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② 놓아먹인 망아지 : 배움이 없이 제멋대로 자라서 마구 행동하거나 가르치기 어려운 사람을 이르는 말. (=고삐 풀린 말, 굴레 벗은 말.) ④ 개 머루 먹듯 : 속 내용을 잘 모르고 건성으로 아는 체하거나 일을 건성건성 하는 경우를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꿀단지 겉 핥는다, 수박 겉 핥기, 언청이 콩가루 먹듯, 후추를 통째로 삼킨다.) ⑤ 굴레 벗은 말 : 거칠게 행동하는 사람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고삐 풀린 말, 놓아먹인 말.) 구속이나 통제에서 벗어나 몸이 자.. 2022. 1. 26.
kbs한국어능력시험 54회 홀수 어휘문제 - 25번 '전문' 정답 ④ ✔️ 문제 '전문' : 전보의 내용이 되는 글. ① 어떤 글에서 한 부분도 빠지거나 빼지 아니한 전체. ② 다른 사람을 거쳐 간접으로 들음. ③ 어떤 분야에 상당한 지식과 경험을 가지고 오직 그 분야만 연구하거나 맡음. 또는 그 분야. ⑤ 다른 사람을 통하여 전하여 들음. 또는 그런 말. '전문' 뜻 1. 어떤 분야에 상당한 지식과 경험을 가지고 오직 그 분야만 연구하거나 맡음. 또는 그 분야. 2. 일제 강점기에, 중드학교 졸업생에게 전문적인 지식이나 기술을 가르치던 학교. 3. 한 편의 글에서 앞부분에 해당하는 글. 4. 법령의 조문 앞에 있는 글. 5. 전보의 내용이 되는 글. 6. 어떤 글에서 한 부분도 빠지거나 빼지 아니한 전체. 7. 제도와 문물을 아울러 이르는 말. 8. 규칙을 적은.. 2022. 1. 26.
kbs한국어능력시험 54회 홀수 어휘 문제 - 24번 고유어 '닦다' 닦다의 뜻이 이렇게 많은 줄이야😲 정답 ⑤ ✔️ 휘몰아서 나무라다 ≠ 회유 '닦다' 1. 때, 먼지 녹 따위의 더러운 것을 없애거나 윤기를 내려고 거죽을 문지르다. 2. 거죽의 물기를 훔치다. 3. 길 따위를 내다. 4. 건물 따위를 지을 터전을 평평하게 다지다. 5. 학문이나 기술을 배우고 익히다. 6. 품행이나 도덕을 바르게 다스려 기르다. 7. 어떤 일을 하기 위한 기초를 마련하다. 8. 치밀하게 따져 자세히 밝히다. 9. 글 따위를 지어 적다. 10. 휘몰아서 나무라다. --> '견책하다'에 가깝지 않을까 ❔ 11. 휘몰아서 대강 훔쳐 닦다. 12. 셈을 맞추어서 밝히다. 2022. 1. 26.
kbs한국어능력시험 54회 홀수 어휘 문제 - 22번 정답 ① 포유류 , 삼일절 ✔️ 국경일 : 삼일절, 제헌절, 광복절, 개천절, 한글날 2022. 1. 26.
kbs한국어능력시험 54회 홀수 어휘 문제 - 19번 한자어 한자도 알아야 하고, 의미도 알아야 하고🤧 정답 ③ 회자(膾炙) ✔️ 회자(膾炙) : 회와 구운 고기라는 뜻으로, 칭찬을 받으며 사람의 입에 자주 오르내림을 이르는 말. ①차출(差出) : 예전에, 관원으로 임명하기 위하여 인재를 뽑던 일. 어떤 일을 시키기 위하여 인원을 선발하여 냄. ②심의(審議) : 심사하고 토의함. ④재기(再起) : 역량이나 능력 따위를 모아서 다시 일어섬. ⑤활약(活躍) : 기운차게 뛰어다님. 활발히 활동함. 2022. 1. 26.
kbs한국어능력시험 54회 홀수 어휘 문제 - 18번 고유어 시험 취소할까 고민될 정도로 모르겠네..🤔 정답 ④ 무람없어서 ✔️ 무람 : 부끄러워하여 삼가고 조심하는 데가 있음. 그런 태도 즉, 무람없다 부끄러움이 없고, 조심성이 없다 2022. 1. 26.
728x90
반응형